국내뉴스

인구 2031년 5천296만명 정점…생산가능인구는 내년부터 감소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6년12월08일 17시05분

작성자

메타정보

  • 32

본문

​통계청 5년 만에 인구추계 발표…정점 1년 늦춰지고 80만명 늘어
2065년 인구 4천302만명까지 감소…고령인구, 내년 유소년 인구 첫 추월

 

 우리나라의 총인구가 저출산의 영향으로 2031년 5천296만명에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돌아선다. 50년 뒤인 2065년에는 1990년 수준인 4천300만명까지 줄어든다.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당장 올해 3천763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내년부터 감소하기 시작해 2020년대부터 매년 30만명 이상씩 급감, 2065년에는 2천만명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의 생산가능인구 비중은 지난해 73.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았지만 2065년에는 47.9%까지 떨어지며 가장 낮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OECD 내에서 '가장 역동적인 국가'에서 '가장 활력없는 국가'로 추락하는 셈이다.

통계청은 8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15∼2065년 장래인구추계'를 발표했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는 지난 2011년에 이어 5년만이다.

 
작년 인구 5천100만명 돌파… 인구 2029년부터 자연감소

우리나라의 총인구는 2004년 4천800만명(4천808만명), 2008년 4천900만명(4천905만명), 2012년 5천만명(5천20만명)대에 올라선데 이어 지난해(5천101만명) 5천100만명대에 도달했다.

우리나라 인구는 2021년(5천212만명) 5천200만명선을 돌파한 뒤 2025년 5천261만명, 2030년 5천294만명에 이어 2031년 5천296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감소세로 전환한다.

인구정점시기는 2011년 인구추계 당시의 2030년, 5천216만명에 비해 시기는 1년 늦춰지고 규모는 80만명 가량 많은 수준이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합계출산율은 2011년 추계에 비해 낮아졌지만 기대수명 증가 속도가 다소 빨라졌고 국제순이동자 증가추세가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총인구는 2045년 5천105만명에 이어 5천만명 시대를 마감하고 2055년 4천743만명, 2065년 4천302만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출산율과 기대수명, 국제순이동 등 인구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중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가정할 때의 추계다.

높은 수준의 출산율과 기대수명, 해외인구 유입 등을 가정한 고위 추계에 따르면 총인구는 2038년 5천542만명을 정점으로 감소해 2065년에도 4천998만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낮은 수준의 인구성장을 가정한 저위 추계상 인구 정점은 2023년(5천168만명)으로 불과 7년 뒤가 되고 2065년에는 1977년 수준인 3천666만명까지 줄어든다.

통계청은 출생아수가 2015년 43만명에서 2035년 36만명 수준으로, 다시 2065년에는 26만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사망자수는 2015년 28만명에서 2028년 40만명을 넘어서고 2065년에는 2015년의 2.7배 수준인 74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사망자가 출생아를 초과하는 2029년부터는 자연감소가 시작될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인구 자연감소는 국제순유입으로 다소 완화된다.

2032∼2065년 자연감소(출생-사망)는 -115만2천명에 달하지만 국제순유입에 의한 사회적 증가가 114만명으로 인구감소 속도를 늦출 것으로 예측됐다.

입국자수와 출국자수의 차이인 국제순이동은 지난해 기준 8만명에서 감소해 2030년 이후는 3만명 수준일 것으로 예측됐다.

 

7aeba5dc6be0f50a83735cf478973010_1481184

생산가능인구 올해 정점…내년 고령인구가 유소년인구 첫 추월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당장 올해가 정점이다.

지난해 기준 3천744만명이었던 생산가능인구는 올해 3천763만명까지 늘어났다가 내년부터 감소해 2065년 2천62만명까지 줄어든다.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15년 73.4%에서 2065년 47.9%로 떨어질 것으로 예측됐다.

유소년인구(0∼14세)는 지난해 전체 인구의 13.8%인 703만명(13.8%)에서 2065년 413만명(9.6%)까지 줄어든다.

반면 고령인구는 같은 기간 654만명(12.8%)에서 1천827만명(42.5%)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내년 고령인구는 708만명으로 유소년인구(675만명)를 처음으로 추월하게 된다.

생산가능인구 감소는 베이비붐 세대가 고령인구로 이동하는 2020년을 기점으로 뚜렷하게 나타나 2020년대 연평균 34만명, 2030년대에는 44만명씩 줄 것으로 예측됐다.

생산가능인구 중 15∼24세 비중은 2015년 18%(673만명)에서 2065년 14.8%(305만명)으로, 주요 경제활동인구인 25∼49세 비중도 52.8%(1천979만명)에서 49.3%(1천15만명)으로 낮아지는 반면 50∼64세 비중은 29.2%(1천92만명)에서 36.0%(742만명)로 올라간다.

고령인구 구성비는 빠르게 늘어나 2026년 20%, 2037년 30%, 2058년에는 40%를 돌파할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85세 이상 초고령인구는 2015년 51만명에서 2065년에는 10배 수준인 505만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같은 기간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구성비도 1% 수준에서 11.7%로 급증할 것으로 전망됐다.

6∼21세 학령인구는 초·중·고와 대학교 연령대에서 모두 감소하면서 2015년 892만명에서 2065년 459만명까지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저출산 여파로 향후 10년 간 184만명이 줄어드는 등 급격한 감소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이지연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대학교 진학 인구가 2015년 275만명에서 2025년에 181만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향후 10년 내 대학 구조조정 등이 이슈로 부각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전체 인구를 연령순서로 나열할 때 한 가운데 있게 되는 사람의 연령인 중위연령은 지난해 40.9세에서 2033년 50세를 넘어서고 2061년 59.0세까지 증가한 뒤 2065년 58.7세로 다소 줄어들 전망이다.

중위연령은 1976년 20세, 1997년 30세, 2014년 40세 등 약 20년을 주기로 10세씩 상승하는 추세다.


2065년 한국 총부양비 OECD 1위…생산가능인구 비중 꼴찌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유소년·고령인구를 뜻하는 총부양비는 2015년 36.2명에서 2027년 50.9명, 2032년 60.1명으로 치솟을 것으로 점쳐졌다.

이후 계속해서 상승해 2060년엔 101.6명, 2065년에 108.7명으로 올라갈 전망이다.

2065년 부양비가 2015년의 3배에 달하는 셈이다.

유소년 인구와 생산가능인구가 동시에 감소하면서 유소년부양비는 2015년 18.8명에서 50년 뒤에는 20.0명으로 소폭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고령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세 때문에 노년부양비는 같은 기간 17.5명에서 88.6명으로 5.1배 늘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를 의미하는 노령화지수는 2015년 93.1명이었지만 내년 104.8명으로 100명을 돌파한 뒤 2029년 203.5명, 2065년 442.3명까지 불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인구 피라미드 모형도 현재는 30∼50대가 두터운 항아리형이지만 앞으로는 60세 이상이 두터워지는 역삼각형 구조로 변화한다.

이 같은 한국의 고령화 속도는 다른 나라와 견줘도 빠른 편이다.

한국의 생산가능인구 비중은 지난해 73.4%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높았지만 2065년 47.9%로 떨어지며 가장 낮아질 것으로 전망됐다.

반면 고령인구 비중은 지난해 기준 12.8%로 OECD 국가 중 낮은 편이었지만 2065년에는 42.5%로 가장 높아질 것으로 예상됐다.

한국의 총부양비 역시 지난해 36.2명으로 OECD 국가 중 가장 낮았지만 2065년엔 108.7명이 되면서 OECD 1위가 된다.
<연합뉴스>

32
  • 기사입력 2016년12월08일 17시05분
  • 검색어 태그 #인구추계#통계청#2031년 인구정점#생산가능인구 감소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