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투자 6개월째 감소, 20년새 최장기↓…산업생산은 두달째↑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8년10월02일 10시46분

작성자

메타정보

  • 14

본문

자동차 생산, 임협 조기타결·개소세 인하 효과로 5년만에 최대 증가
경기지표 하강…8월 동행·선행지수 순환변동치 각각 5개월, 3개월째↓
정부 "대내외 리스크 관리 만전…민생 개선 노력에 총력"
 
 반도체 설비투자 조정 등에 따른 영향으로 투자 지표가 20년 만에 최장기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8월 산업생산은 자동차 등의 호조로 두 달째 증가했지만, 소비는 제자리걸음했다.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모두 전달보다 하락한 것으로 나타나 경기 하강에 대한 우려를 더했다.

정부는 부진한 고용상황과 미중 통상분쟁 등 대내외 리스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민생 개선 노력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통계청이 2일 발표한 8월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전(全)산업 생산지수는 광공업, 서비스업 등에서 늘어 전달보다 0.5% 증가했다.

전산업 생산지수는 올해 6월 3개월 만에 감소세(-0.6%)로 돌아섰지만 7월에 바로 반등하고선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광공업 생산은 반도체 등에서 감소했지만 자동차, 고무·플라스틱 등에서 늘어 1.4% 증가했다.

특히 자동차 생산은 전달보다 21.8% 늘면서 2013년 8월(24.1%) 이후 5년 만에 증가 폭이 가장 컸다.

북미·중동 지역의 수출이 개선되고 임금 협상 조기타결로 완성차 생산이 늘어난 영향이다. 개별소비세 인하 영향으로 자동차 판매가 늘어난 점도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반도체 생산은 전달보다 6.2% 감소했다. 통계청은 전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생산이 13.6% 증가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번 감소는 출하 증가에 맞춘 재고 조정 성격으로, 나쁜 상황은 아니라고 봤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2.5%포인트 상승한 75.7%였다. 구조조정으로 생산 장비가 효율화된 데다 자동차 등 광공업 생산이 늘어난 영향이다.

제조업 재고는 전달보다 1.1%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교육 등에서 줄었지만 보건·사회복지 등이 늘어 전달보다 0.1% 증가했다.

소비 지표인 소매판매는 준내구재·비내구재는 감소했지만 내구재가 늘면서 전달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앞서 소매판매는 지난 6월 3개월 만에 증가세로 전환한 뒤 7월까지 두 달 연속 늘었었다.

설비투자는 자동차 등 운송장비에서 증가했지만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가 줄어 전달보다 1.4%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올해 3월부터 6개월 연속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외환 위기 당시인 1997년 9월∼1998년 6월까지 10개월 연속 감소를 기록한 이후 약 20년 만에 최장기간이다.

호조세를 보이던 반도체업체 설비투자가 올해 3∼4월경 마무리되면서 투자 지표 둔화세가 계속되는 것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건설업체가 실제로 시공한 실적을 금액으로 보여주는 건설기성은 전달보다 1.3% 감소했다.

현재의 경기상황을 보여주는 지표인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달보다 0.2포인트 하락한 98.9를 기록했다. 이는 2009년 8월(98.8)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전달보다 0.4포인트 떨어진 99.4를 나타냈다. 이번 낙폭은 2016년 2월(-0.4) 이후 2년 6개월 만에 가장 컸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5개월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3개월째 마이너스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어운선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경기 하강 우려에 대해 "단기간 하락은 맞지만 공식 전환 판단을 하려면 순환변동치와 함께 국내총생산(GDP) 등도 봐야 한다"라며 "순환변동치가 6개월 연속 하락이라고 해도 하강이 아닐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adc98ea2b4bc171a9cd992d5900c8a5a_1538444


이어 "산업활동 동향이 GDP 흐름과 크게 엇갈리는 부분은 없으며 경기지수 흐름이 현실과 괴리가 있다고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정부는 세계 경제 개선과 수출 호조 등 긍정적인 요인이 있지만, 고용상황이 미흡하고 미중 통상갈등, 미국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 등 위험요인이 여전히 존재한다고 판단했다.

이에 따라 대내외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일자리 창출과 민생 개선 노력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가계부채, 부동산 시장 등 대내 리스크를 철저히 관리해 나가고 대외 통상현안 등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며 "공급 측면 성장을 이끄는 혁신성장을 가속하고 수요측면의 재정보강, 저소득층 일자리·소득지원 대책,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 대책 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14
  • 기사입력 2018년10월02일 10시46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