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뉴스

'한국경제 뇌관' 가계부채 1천400조 돌파…증가세 더 빨라져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7년11월22일 15시02분

작성자

메타정보

  • 27

본문

분기 증가 규모 2분기 29조→3분기 31조
2금융권 풍선효과는 주춤…신용대출은 역대 최대폭 증가

 

한국은행 이달 기준금리 인상 전망이 유력한 가운데 우리나라 가계 빚 총액이 결국 1천400조원을 넘어섰다.

가계부채는 정부 대책에도 불구하고 관성 힘을 받아 멈추지 않고 월 10조원씩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3/4분기 중 가계신용(잠정)'을 보면 9월 말 가계신용 잔액은 1천419조1천억원으로, 3분기 동안 31조2천억원(전분기 대비 2.2%) 증가했다.

가계신용 잔액은 한은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2년 4분기 이후 최대다.

가계신용은 가계부채를 포괄적으로 보여주는 통계다. 가계가 은행, 보험사, 저축은행, 대부업체 등 각종 금융기관에서 받은 대출과 결제 전 카드 사용금액(판매신용)까지 합친 금액이다.

가계신용은 지난해의 이례적 폭증세보다는 덜 하지만 경제 성장률보다 훨씬 높은 증가율이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정부의 각종 부동산 대책에도 불구하고 증가 규모는 더욱 커졌다.

3분기 가계신용 증가액은 1분기(16조6천억원), 2분기(28조8천억원) 보다 많다.

분기 증가 규모가 30조원을 넘어선 것은 올해 처음이다. 전 분기 대비 증가율도 1분기(1.2%), 2분기(2.1%)보다 높은 2.2%다.

다만, 작년 3분기(38조9천억원) 보다는 작은 규모다.

작년 동기대비 증가율은 9.5%로, 2015년 2분기(9.2%) 이래 처음으로 한 자릿수로 내려갔다.

올 4분기에 40조원이 늘어도 올해 전체의 작년 동기대비 증가율은 정부 목표인 8%대에 부합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는 2010∼2014년 평균 증가율(6.9%)보다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문소상 한은 금융통계팀장은 "소득으로 부채를 감내할 수 있느냐로 평가를 해야 하는데 가계 소득 증가율이 경제 성장률(올해 3% 전망)과 비슷하다고 본다면 부채 증가 속도가 빠르다"고 말했다.

1천400조원이 넘는 가계부채는 저금리 장기화의 대표적인 부작용으로 지적된다.

5fe91b1c9ee0c1d21d1980be1de45439_1511330


장기적으로 민간소비를 위축시키고 금융 안정을 훼손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요인이다.

부문별로 보면 9월 말 가계대출 잔액은 1천341조2천억원으로, 3분기에 28조2천억원(2.1%) 늘었다.

예금은행 가계대출이 15조원 증가했다. 증가 규모가 전분기(12조원)는 물론 작년 4분기(13조5천억원) 보다 많다.

주택담보대출은 8조원 증가하며 1분기(6천억원)와 2분기(6조3천억원) 에 비해 확대됐다.

문소상 팀장은 "부동산 대책이 현장에 아직 현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가운데 7∼8월에 주택매매가 활발했고, 2015년에 분양된 아파트 입주 시기가 3분기에 집중되며 주담대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예금은행에서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7조원 늘어나며 2006년 통계 집계 이래 최대 증가 규모를 기록했다.

인터넷은행 대출은 2조7천억원 늘었다.

카카오뱅크의 신규 영업 효과와 소비심리 개선 영향이 크다고 한은은 분석했다.

상호금융, 저축은행, 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 예금취급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4조3천억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2금융권의 가계대출 리스크 관리 강화 영향으로 증가 폭이 전분기(6조3천억원) 보다 줄었다. 이는 2015년 1분기(1조5천억원) 이래 최소 규모다.

보험과 연금기금, 카드사 등 '기타금융기관'의 가계대출 잔액은 8조9천억원 늘었다.

판매신용 잔액은 3분기에 3조원 늘었다. 전분기(1조9천억원) 보다 크게 증가했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신용카드 사용이 늘어나 여신전문기관이 3조2천억원 증가한 반면 백화점, 자동차회사 등 판매회사는 1천억원 감소했다.
<연합뉴스>


 

27
  • 기사입력 2017년11월22일 15시02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