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수저계급론을 물려 줄 수는 없다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8년03월19일 21시48분
  • 최종수정 2018년03월22일 09시45분

작성자

메타정보

  • 35

본문

예전 같으면 모든 이슈를 블랙홀처럼 빨아들였을 전직 대통령 검찰 소환이슈에도 부정채용이슈가 연일 뜨겁다. 그만큼 젊은 구직자와 그 부모뿐만아니라 국민들의 관심이 크다는 얘기다. 수저계급론이 인구에 회자되는 이유를 알 것 같다.

 

공공부문에 있어서 인사 채용비리는 무겁게 보아야 한다. 만인이 평등한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냐’고 광화문 광장에서 외쳐야 할 것만 같다. 태어날 때부터 신분이 정해져 있던 사회에서도 그러한 외침이 사회를 흔들었는데, 자유와 민주 그리고 기회의 평등을 추구하는 우리 사회에서 돈과 권력이 있는 자들에게 일할 기회마저 빼앗긴다면 광화문에서 촛불이 다시 타오르지 않으리란 장담을 할 수 없다. 공공부문에 있어서 공정성은 사회발전의 생명이다. 그렇지 않으면 암담한 미래가 있을 뿐이다. 인사가 곧 만사이기 때문이다.

 

공정성의 확보는 공공부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 재산을 불리기 위해 내가 원하는 사람과 일을 한다는 데 누가 뭐라 하냐고 한다면 할 말이 없을 듯도 하다. 망해도 내 탓이고 흥해도 내 탓이니 말이다. 그런데 그것이 대중의 삶과 직결된 것이라면 달라진다. 공공부문은 물론이고 규제산업인 금융기관 등은 엄중한 감시를 받아야 마땅하고, 기업의 흥망이 대중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대기업도 채용에서 절차적 정당성과 공정성을 갖춰 일정 부분 감시를 받아야 한다. 사기업에 있어서도 그러한 의미에서 반칙과 특권을 이용한 채용은 범죄행위다. 고도성장시기의 유산 중 하나로 회사발전을 위해서 또는 거래처관리를 위해서라는 명목으로 부당하게 채용해왔던 관행도 반칙이다.

 

수 백만 명이 촛불을 들고 거리에 나왔던 것은 바로 잘못된 과거를 청산하고 새로운 미래를 열자는 뜻이다. 이제 공공부문, 그리고 공공부문에 못지 않는 영향력을 지닌 부문에서의 채용도 대중으로부터 절차적 타당성과 공정성을 검증 받아야 한다.

 

채용은 우수한 인재를 뽑기 위한 것이다. 문제는 우수함의 기준이 모두 다르다는 것이고 또 달라야 한다는 것이다. 기준은 해당 직무가 필요로 하는 역량과 회사의 인재상이다. 그렇지 않으면 학력고사점수순으로 인재를 채용하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만약에 금융회사에서 채용비리가 있다고 해서 채용기준을 동일하게 만든다면, 다양한 전략으로 발전과 생존을 모색하는 회사들이 아니고, 하나의 위기에 모두 붕괴될 수 있는 이름만 다른 같은 금융회사가 될 뿐이다. 외환위기에 겪었던 실패를 반복하게 될 것이다. 공정성의 확보라는 이름아래 해당 기관이나 회사에서 필요한 인재 채용을 제약해서는 안 된다. 다이나믹 코리아를 지탱해나가는 힘인 다양성을 훼손하는 것이다. 우수한 인재를 일률적 기준으로 뽑지 않았다고 해서, 과거의 채용이 현재의 기준에 맞지 않는다고 해서 단죄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 일이다. 

 

이제 우리가 할 일은 과거의 잘못을 철저히 반성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다. 채용부문에서는 해당조직에 필요한 우수한 인재를 공정하고 정교하게 선발하는 방법들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제 갓 사회에 진출하는 젊은 인재들에게 ‘수저계급론’ 같은 패배의식을 갖게 할 수는 없지 않은가 <ifs POST>

35
  • 기사입력 2018년03월19일 21시48분
  • 최종수정 2018년03월22일 09시45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