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려있는 정책플랫폼 |
국가미래연구원은 폭 넓은 주제를 깊은 통찰력으로 다룹니다

※ 여기에 실린 글은 필자 개인의 의견이며 국가미래연구원(IFS)의 공식입장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글로벌 금융 위기는 생각보다 훨씬 가까이 와 있다” 본문듣기

작성시간

  • 기사입력 2019년04월10일 17시00분
  • 최종수정 2019년04월10일 16시10분

작성자

메타정보

  • 24

본문

- Washington Post “위기는 생각보다 가까이 와 있어”; ‘Carry Trade’ 루트 지목

- “美 · 英 등 주요국 정책 실패가 금융 위기를 불러오는 방향으로 역진(逆進) 중”

- “다음 금융 위기는 美 금융시장의 ‘유동성 고갈(liquidity dry-up)’로 촉발될 것”

- 위기 대응 제안; ① 규제 강화, ② 금융 · 재정 여유 확보, ③ 장기 안정 추구 


작년 2018년은 “리먼 쇼크(Lehman Shock)”로 널리 불리워지는 美 서브프라임發 ‘글로벌 금융위기’ 가 일어난 지 꼭 10년째 되는 해였다. 이를 계기로 국제 사회에는 대형 금융 위기의 재현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다양하게 분출되기 시작해서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 미증유의 글로벌 경제 파탄을 겪은 뒤 벌써 10년의 세월이 흘렀으나 각 부문에 산재한 위기 요인들은 오히려 커지고 있다는 반증이다.

 

한편, 지금 글로벌 사회에는 미국과 중국이 벌이는 통상 분쟁, 영국의 EU 탈퇴를 둘러싼 유럽 사회의 극심한 혼란, 각국에 발호하고 있는 ‘포퓰리즘’ 풍조 등, 정치 · 경제 전반의 불안정한 상황은 날로 심화되고 있다. 그런 와중에, 글로벌 경제의 최대 축(軸)인 미국에 트럼프 정권이 등장하면서, 이른바 ‘America First’ 기치를 내건 보호주의 풍조가 글로벌 경제에 혼란을 더욱 가중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가장 첨예한 이슈인 美 中 무역전쟁은 양국이 어찌해서 일단 봉합 수순으로 타결된다 해도, 글로벌 패권을 다투는 분쟁의 새로운 시작일 뿐이라는 전망이 대세다.

 

이에 더해, 근년 각국이 공통으로 겪고 있는 현상이 바로, 다양한 사회 계층 간 ‘분단’ · ‘불균형’ · ‘불공평’에 기인한 갈등 심화 문제다. 영국이 Brexit (EU 탈퇴)를 선언하고 나서 지금도 진퇴양난의 곤경에 처해 엄청난 희생을 치르고 있는 것도 다름 아닌 이민자들에 대한 증오의 발로로, 자국 이익을 보호한다는 명분에 집착한 결과다. 이탈리아, 그리스, 브라질 등도 근시안적 이득에 편집(偏執)된 포퓰리즘 물결에 휩쓸려, 이제는 각국 정부로 하여금 ‘절제와 균형’, ‘안정과 성장’이라는 기본 노선도 제대로 유지하기가 지극히 어려운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대중의 과도한 복지 요구가 재정 부담을 가중시키고, 지속가능한 정책을 저해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얼마 전까지 대승적으로 안정을 지켜온 글로벌 금융시장이 최근 들어, 주가 폭락 등 불길한 조짐이 빈발하고 있다. 자칫, 회복 불능 상황으로 넘어갈 위험성도 커지는 현실이다. 항상, 역동적인 시장에 변동성은 있게 마련이고 때로는 ‘건전한 긴장감’이 필요한 것이나, 지금 나타나는 심상치 않은 궤도 일탈 조짐을 보면 잠재적인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음이 분명하다.

 

■ 英 Financial Times “금융 위기 재발이 불가피한 4 가지 이유”


지난 3월 하순, 英 Financial Times紙는 단호한 논조로 글로벌 금융 위기 재발을 경고하는 경제 논객 울프(Martin Wolf)씨의 논설을 게재했다. 그는 주로 美 연준이 취택하고 있는 금융정책 방향이 위기 회피와는 정반대로 역주행하고 있다고 비판을 가하며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다. 특히, 美 연준이 현 호경기 상황에서 주요 금융기관들(SIFI)에 적용하는 ‘경기 완충(緩衝) 자본(CCyB; Counter Cyclical Buffer)’ 기준을 ‘제로’로 하도록 결정한 것을 비판한다. ‘호황기’에 규제를 ‘강화’하고, ‘불황기’에는 ‘완화’하는 정칙에서 벗어난 美 연준의 금융 완화 결정을 우려하는 것이다.

 

사실, 2007~12년 금융 위기 동안에 각국 금융 당국은 합심 협력하여 BIS 규제의 틀을 중심으로 삼아, 자본 및 유동성 충실 의무 강화, 무절제한 업무 범위 확장에 대한 엄격한 통제 등을 핵심으로 은행에 대한 규제를 강화했다. ‘대마불사(大馬不死; Too-Big-To-Fail)’ 신화도 이 때 일단 종식됐다. 그러나, 그로부터 10년이 지난 지금, 대표적인 경영 안정성 지표인 ‘핵심 자기자본 對 자산 배율’은 평균 17배에 달해 高 레버리지 체질이 여전하고, 손실 완충 여력은 지극히 제한된 상황이다.

 

최근 발표되는 수 많은 연구 결과들은 금융 규제와 경기 사이클의 증폭 효과 간의 상관관계를 증명한다. 이런 호경기 상황에서 규제를 느슨하게 유지하다가 경기가 통제가 어려운 상황으로 급랭하면 위기에 빠지곤 했던 것이 역사적 사실이다. 울프(Wolf)씨는 이런 경향이 자꾸 반복되는 이유를 다음 4 가지로 집약한다. 첫째; 경제적 요인으로, 금융 거래가 규제가 덜 미치는 영역으로 옮겨가 리스크가 집적(集積)되는 현상을 말한다. 좋은 사례가 ‘그림자 금융’의 확장이다. 둘째; 이데올로기 요인으로, 자유시장 이념을 신봉하는 이데올로기가 강할수록, 규제 당국의 권위와 강제력이 시장을 방해한다고 보아 약체화 되는 것이다. 셋째; 정치적 요인으로, 금융 주체들이 막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정치 세력과 결탁할 가능성이다.

 

이러한 경제적 요인들과는 별개인 네번째 요인은 본질적인 인간 심리에 기인한 것이다. 인간의 본성이 지나간 일들은 쉽게 잊어버리고 목전에 일어나는 일들의 리스크를 과소 평가하는 경향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2008년 위기 대응 시, 각국 공통으로 경제 침체를 저지하려는 노력으로 민간 부문 신용을 과다하게 확장한 것이 지금 와서 다음 위기를 재촉하는 역설적 상황이 된 것을 지적하는 것이다.

 

■ JP Morgan “다음 위기는 ‘유동성 고갈(枯渴)’이 촉발하게 될 것”


최근, JP Morgan의 금융 전문가(Marko Kolanovic)는 다음 금융 위기는 “대형 유동성 위기(Great Liquidity Crisis)” 형태가 될 것이라는 예상도를 그려 보였다. 연준의 B/S 감축(=긴축) 및 시장에 ‘알고리즘 매매’ 확산 등이 본격화하면 주가는 급격하게 하락하고, 글로벌 금융시장에 유동성이 고갈되게 만들 것이라는 가정이다. 이어서, 주가 급락은 전반적인 자산 가격 폭락을 불러오고, 시장 변동성을 증폭시킬 것이고, 종국에는 글로벌 경제가 총체적인 동시 위기 상황에 빠진다는 경고다.

 

이런 시나리오는 그 동안 자산 시장에서 Index 펀드나 ETF 등 양적 기반의 거래 전략이 시장 리스크를 증폭시켜 왔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자산 운용자들이 ‘적극적(active)’ 운용에서 ‘수동적(passive)’ 운용 패턴으로 급격히 전환하게 되면 시장은 대규모 폭락 사태를 제어하기가 어렵게 되거나, 자생적인 기능 회복 능력을 상실하여, 결국에는 붕락 되는 상황을 면하기 어려워지는 과정을 상정한다.

 

아울러, 이 전문가는 위기 상황은 2019년 중반까지는 현재화 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위기 촉발 시점을 결정할 몇 가지 요인으로 美 中 무역전쟁 향방, 연준의 금리인상 속도 및 자산 감축 진행 추이 등을 든다. 구체적으로, 美 주가가 40% 하락하는 경우에는 연준은 비상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안 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다른 JP Morgan 전략팀은 독자 모델을 활용해서, 다음 금융 위기가 도래할 시기와 관련하여 2020년을 주시할 것을 경고했다. 동시에, 다행인 것은 다음 위기가 가져올 충격의 정도는 지난 위기보다는 덜 충격적일 것이라는 전망도 했다.

 

■ 워싱턴 포스트 “금융 위기는 생각보다 훨씬 가까이 와 있다” 경고


작년 10월 美 Washington Post는 한 경제 전문가(Tim Lee)의 견해를 인용하여, 이미 글로벌 금융 시장에는 위기 재발 조짐들이 나타나고 있다며, 다음 금융 위기가 생각보다 가까이 와 있다는 절박한(?) 경고를 발령한 적이 있다. 주로, 당시 빈발하던 美 주가 폭락 현상, 터키 리라貨 가치의 급락 등을 배경으로 한 것이었다.

 

국제금융 시장에서 흔히 경험하는 것이나, 국경을 넘나들며 흘러 다니는 투자(혹은 ‘투기’) 자금이 빈번하게 변조를 보이는 것은 아마도 가장 현실적으로 느끼는 위기의 예비적 징조[豫兆]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향후 소위 ‘와타나베 부인’ 등으로 비유되는 “Carry Trade” 거래자들의 행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Carry Trade’ 거래자들은 주로 일본, 미국 등 低금리 시장에서 자금을 차입하여 상대적으로 리스크가 낮은 高금리 시장인 터키 등 신흥국의 주식, 부동산, 기업 매수 등 각종 형태의 시장으로 흘러 들어간다. 이후 레버리지가 잔뜩 커진 상황에서 시장이 위험해지면 자금을 역회전(unwinding) 시키게 되고, 그 결과, 현지 시장은 급격한 유동성 고갈 상태에 빠지게 된다. 이런 과정을 감안하면, ‘Carry Trade’가 과도하게 집중되는 그 자체로 시장 파탄의 씨앗을 잉태하는 셈이 되는 것이다.

 

BIS는 미국 이외의 시장에서 거래된 非금융 부문의 달러貨 표시 대출 규모가 지난 2007년 말 기준으로 글로벌 GDP의 9.5% 수준에서 작년 1Q 말에 14%로 급증했다는 통계를 발표한 적이 있다. 정확하게 일치하지는 않으나, 이들 중 상당 부분이 ‘Carry Trade’ 형태의 거래로 분류되는 것이다. ‘Carry Trade’ 거래의 속성 상, 최근 몇 년처럼 금융 변동성이 낮은 시기에는 꾸준히 유입되면서 자산 가격도 상승시키고, 이는 다시 개인 자산 및 소득도 증가시켜서 개인 소비도 증가시킨다. 일단, 해당국 경제의 경기 호전 상황의 뒤를 밀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 “중앙은행들도 ‘Carry Trade’와 다를 바 없는 위기 조성의 원천”


이런 의미에서는 일국의 중앙은행은 하나의 거대한 ‘Carry Trade’나 크게 다를 바가 없다. 각국 중앙은행들은 금융 위기 당시에는 無이자 혹은 超저금리 자금을 동원하여 은행을 구제하거나 기업들을 전략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각종 채권 자산들을 매입한 것이다. 이제, 중앙은행들이 자산 축소로 돌아서면 글로벌 자금은 高금리 시장으로 몰려가고 상대적으로 금리 차이가 확대되는 신흥국 시장에서는 자금이 일거에 빠져나가 시장 불안은 커지고 유동성은 급격히 고갈되고 마는 것이다.

 

결국, 자산 시장 가격 하락이 지속되어 ‘Tipping Point’을 넘어서면, 신용이 낮은 금융 및 일반 기업들은 자금 조달 경색을 견디지 못하고 연쇄적으로 파탄되고, 쉽사리 금융 시스템 전반이 붕괴되고 만다. 급기야, 해당국 정부 당국이 정상적 수단으로 대응할 범위를 넘어서면 소위 금융 위기로 치닫게 되고, 이런 국소적 위기가 경로를 통해 전세계로 전염되면 글로벌 금융 위기로 전화(轉化)되는 것이다.

 

국제금융시장은 여태까지 인류가 고안해낸 가장 ‘효율적인 시장(efficient market)’이고, 현대에는 인터넷망을 통해 국경을 넘어 실시간으로 연결된 “24시간 열려 있는 글로벌 단일 시장”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일단, 어느 한 지역에서 ‘위기’의 질환이 발병하면, 흡사 건장한 신체에 암 바이러스가 더욱 빠르게 전신으로 번지듯이, 위기 증상이 거의 실시간으로 전 세계로 확산되는 패턴을 보인다.

 

지난 ‘리먼(Lehman) 사태’ 이후, 글로벌 금융시장에는 이런 ‘Carry Trade’ 거래 형태의 자본 이동이 만연하게 되었고, 만일, 이러한 거래 형태들이 일거에 逆회전하면 다음 글로벌 금융위기는 훨씬 쉽게 찾아올 지도 모른다. 따라서, 각국 중앙은행들은 특히 이러한 ‘Carry Trade’ 거래를 부추기거나 과도하게 의존하지 않도록 사전 혹은 사후적으로 절제되고 건전한 금융 정책을 견지할 필요가 절실하다.

 

■ SCMP “다음 금융 위기는 중국이 아니라 미국에서 촉발될 것”


홍콩 南方早報(SCMP)는 최근, 2018년 말부터 점점 많은 경제학자, 애널리스트 및 투자자들이 “2019년 금융 위기” 혹은 “2020년 경제 침체”를 전망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위기가 찾아오고 있다는 점에 공감하면서도 무엇이 위기를 촉발하고, 어디서 시작될 것인가에 대해서는 합의가 부족한 실정이다.

 

서방 측의 많은 관측자들은 중국을 지목한다. 중국은, 불과 10년 동안에 부채 수준이 GDP의 150% 수준에서 250%까지 치솟았고, 지금의 경기 감속이 지속되면 차입 주체들의 상환 능력이 의문시되는 것을 우려하는 것이다. 일부는, 독일 경제가 이미 경기 하강 주기에 들어갔고, 이탈리아의 장기 금리가 급등하고 있어 은행들의 자본 부실로 유로화(€) 신뢰가 추락할 것이라는 전망 하에 유럽 쪽에 눈길을 보내기도 한다. 그러나, 이런 정황들이 사실이라고 해도, 다음 금융 위기가 중국이나 유럽에서 발단될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보인다. 통상, 금융 위기는 ‘지불 불능(insolvency)’ 사태보다는, 금융기관들의 ‘유동성 부족’이 촉발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전망들과 달리, 다음 금융 위기는 역시 미국에서 발단할 것이라는 경고가 나온다. 2008년 위기와는 분명 다른 형태일 것이나, 많은 점에서 유사할 것이라고 관측한다. 2008년 위기 이전에 美 금융기관들은 시장에 넘치던 低금리 상황을 배경으로 신용도가 떨어지는 ‘서브프라임(Subprime)’ 주택 구입자들을 대상으로 리스크가 높은 대출을 무차별적으로 실행한 것이 위기의 단초를 마련했던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최근 10년 간 위기 탈출을 위한 ‘양적완화’ 과정에서, 기업들은 ‘제로’ 금리에 가까운 자금을 대거 차입하여, 생산적 투자보다 주로 자사 주가를 끌어올리는 재원으로 많이 활용했다. 이에 따라, 美 기업들의 채권 발행액은 7.5조 달러로 3 배나 증가했고, 이 중 45%가 ‘정크’ 수준의 차상위인 ‘BBB’ 등급이다. 

 

이처럼 급격히 팽창된 사채(社債) 시장에 2008년 이후 규제가 강화되면서 은행 및 증권사들이 자기 계정으로 투자하는 것을 엄격히 통제하자, 금융기업들의 재고가 누적되고 유동성은 급속히 고갈되었다. 시장에 가장 가공할 위기 요인이 잉태되어온 것이다. 여기에, 만일, 美 경제에 지금까지 호황기가 종료되고 기업 수익이 급격하게 악화되면 차입 주체들은 채무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것은 뻔한 일이다.

 

그런 상황이 되면, ‘BBB’ 등급 기업들은 조만간 ‘정크’ 등급으로 하향될 것이고, ETF나 기관투자자들은 보유 채권들을 매각하려 할 것이나, 원매자가 희소한 상황에서 가격은 파탄이 나고 자산 처분 손실은 눈덩이처럼 늘어날 것이다. 이러한 악순환이 순식간에 일어나면서 미국 금융 시스템에는 유동성 고갈(dry up)을 겪게 되고, 이런 영향이 국경을 넘어 급속히 파급되어 세계 경제는 돌연 2008년 ‘리먼 사태’ 와 유사한 ‘죽음의 소용돌이(death spiral)’ 속으로 빠져들게 된다는 전망이다.

 

■ Brookings/FT “세계 경제는 이미 ‘동시 감속(減速)’에 들어가” 경고

 

금년 초 IMF 라가드(Christine Lagarde) 총재는 글로벌 금융 위기가 도래할 위험을 경고한 적이 있다. 최근에도 세계 경제는 금년 들어 모멘텀을 크게 잃어가고 있고 ‘위태(precarious) 상황’에 들어섰다면서 재차 위기 재발 경각심을 일깨웠다. 라가드(Lagarde) 총재는 최근 행한 한 연설에서도 가까운 시일에 ‘경기 침체(recession)’가 올 것은 아니지만, 금년 들어 세계 경제는 계속 약화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美 Brookings 연구소 및 英 Financial Times가 발표한 “세계경제 회복 트레킹 지수(TIGER 지수)”에 따르면, 세계 경제는 이미 작년 가을 무렵부터 ‘동시 감속(synchronized slowdown)’에 들어갔고, 2019년 안에는 회복 반전을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우울한 전망을 내놓았다. Brookings 연구소 프라사드(Eswar Prasad) 교수는 당장 글로벌 경기 침체(recession)로 들어가지는 않을 것이나, 세계 경제는 전반적으로 모멘텀을 잃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각국 정부가 거시 정책 수단에 제약을 가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향후 몇 년 간은 경제 향방을 점치는 데 불길한 징조를 보이는 것이라고 지적하며, 새로운 경기 촉진 방책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특히, 10년 전 Lehman Brothers社 파탄으로 촉발된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각국이 공동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여 분명히 지금은 2008년 당시보다는 안전하다. 은행들의 자본 충실도는 향상됐고, 유동성도 여유를 가지고 있다. 대마불사(大馬不死; too-big-to-fail)라는 시스템 리스크도 완화됐다. ‘리스크 검증(Stress Test)’을 통한 모니터링 기능도 향상됐다. Lehman 사태 당시 가장 큰 문제였던 각종 파생상품의 장외거래에 따른 ‘숨겨진’ 리스크도 대부분 제도적 결제 시스템으로 흡수됐다.

 

그럼에도, 그는 2008년 이후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과정에서 가장 취약한 잠재적 위기 요인으로 새로 부상한 가계 및 기업 ‘과잉 부채(excessive debt)’ 문제를 특히 지적한다. 2017년 기준, 非금융 글로벌 부채 규모는 182조 달러라는 기록적 수준에 도달했다. 이는 글로벌 GDP의 약 224%에 상당하는 규모이고, 2007년에 비하면 무려 60%나 급증한 것이다. 투자자들은 부도 위험이 높은 기업 채권을 인수하고 있고, 저소득 국가들은 채무상환이 불가능한 상황에 빠질 위험이 크다는 지적이다. 여기에, 새로 부상하는 리스크 요인으로, 은행이나 거래소에 대한 사이버 공격 위험성 등에도 엄중 대처할 필요성이 있다고 경고한다. 급격한 금융 혁신은 보다 편리한 低비용 서비스를 약속하지만, 동시에 개인 소비자, 투자자, 금융 전반의 안정성에는 새로운 리스크 요인을 제공하고 있다는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종전의 ‘非정통적’ 금융 완화 노선에서 일거에 정상화(긴축)로 회귀하는 데 따른 글로벌 자금 이동 가능성도 실질적인 리스크 요인이다. 실제로 작년에 신흥국 시장에 들어왔던 글로벌 자금이 高금리 · 强달러 시장으로 역류한 것이 감지되고 있다. IMF 추산으로는 미국 등이 긴축으로 전환하면서 (중국 제외) 신흥국 시장에서 1,000억 달러의 자금이 빠져나갈 것으로 보인다. 이는 글로벌 금융 위기 당시 일어났던 자금 이동 규모와 맞먹는 수준이다.

 

■ 3 가지 대응 방향; ‘규제 강화’ · ‘금융 · 재정 여유 확충’ · ‘장기 안정 추구’ 

 

과거에 일어났던 수 많은 금융 위기 경험은 몇 가지 정형적인 패턴을 시사한다. 각국 정부 간 확고한 협약에 따라 국제금융이 이루어지던 (Bretton Woods 붕괴이전) 시절에는 위기가 발생해도 대개 국지적이거나 범위가 제한되는 경우가 많았다. 금융 위기를 촉발하는 요인들도 대부분 개별 국가의 재정 · 금융 정책 실패, 국제수지 급감, 또는 도덕적 해이(Moral Hazard) 등 원인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각국 민간 자본이 자유로이 국경을 넘어 글로벌 규모로 합종연횡(合從連橫)하는 현대 금융시장에서는 당연히 위기 요인의 국가 간 상호 연관 및 동시성도 크다. 전문가들은 위기가 전염되는 경로를 대체로 ‘교역을 통해 전염되는 경로’와 ‘금융 · 자본 거래를 통한 경로’ 두 가지로 구분한다. 전자가 대체로 장기적 충격을 가져오는 것이고 후자가 단기적 · 동시적 충격을 가져온다는 차이가 있으나, 결국은 서로 충격과 영향을 주고받으며 잠재적 위험 요인들이 발현되는 것이다.

 

이를 감안하면, 최근 겪었던 “서브프라임發 글로벌 금융 위기” 때, 각국이 ‘담대한’ 재정 · 금융 확대로 기민하게 공동 대응했고, 특히, 중국이 40조 위안이라는 엄청난 유동성 공급 확대로 큰 몫을 했던 것처럼, 긴밀한 국제 공조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그러한 과감한 위기 대응의 예후로, 지금 중국 경제가 과잉부채 문제로 또 다른 위협에 직면하고 있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교훈을 준다.

 

각국은 사전적인 대응 방안으로, 우선, 제도 개혁을 부단히 추진하되, 안이하게 과거로 돌아가는 타성을 근절하는 노력이 절실하다. 또한, 레버리지가 큰 대형 금융기업들의 방만한 경영을 억지하는 동시에, 금융 · 재정 운용의 유연성을 적정하게 확보하여 위기 발생 시에 즉응할 예비적 실탄[수단]을 충분히 비축해야 할 것이다. 장기적 관점에서는, 사회 · 경제 안정을 일관되게 유지할 것도 긴요하다.

 

작년 9월 美 NBC 방송은 글로벌 금융위기 10년을 맞아 마련한 프로그램에서, 당시 위기의 주범으로 지목됐던 대형 금융회사들이 ‘대마불사(Too-Big-To-Fail)’ 신화에 빠졌던 오류를 지탄했으나 지금은 당시보다 몸집이 더 커졌다며 역사의 교훈을 되새기는 경구를 전했다. “Those who do not learn history are doomed to repeat it.” 흔히, 역사는 반복하는 것이라고 하나, 실패한 역사에서 교훈을 얻지 못하면 고난을 거듭할 따름이라는 것 또한 동서고금의 명언이다. <ifs POST>

24
  • 기사입력 2019년04월10일 17시00분
  • 최종수정 2019년04월10일 16시10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